헨트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트 대학교는 1817년 벨기에 겐트에 설립된 국립 대학교이다. 네덜란드 연합왕국 국왕 빌럼 1세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인문학, 법학, 약학, 이학의 4개 학부로 시작했다. 벨기에 혁명 이후 프랑스어를 사용하다가 1930년 네덜란드어 대학교가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2014년에는 대한민국 인천 송도에 글로벌 캠퍼스를 설립하여 분자생명공학, 환경공학, 식품공학 학부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헨트 대학교는 11개의 단과대학과 86개 학과, 200개 이상의 전공을 제공하며, 연구 및 교육 분야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헨트 대학교는 세계 유수의 대학 평가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요한 루돌프 토르베케, 모리스 마테를링크, 코르네유 하이만스 등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대학교 - 뢰번 가톨릭 대학교
뢰번 가톨릭 대학교는 1425년에 설립되어 인문학, 법학, 교회법학, 약학의 네 개 학과로 시작한 벨기에 뢰번 시의 연구 중심 대학으로, 저명한 학자들을 배출하며 유럽의 대표적인 학술 기관으로 성장했고 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언어 갈등을 겪었으나 현재는 여러 캠퍼스에서 다양한 학문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제공하고 있다. - 벨기에의 대학교 - 루뱅 가톨릭 대학교
루뱅 가톨릭 대학교(UCLouvain)는 1834년 설립되어 1968년 언어 분쟁으로 뢰번 가톨릭 대학교와 분리된 프랑스어 사용 대학으로, 2011년과 2018년 몽스 가톨릭 대학교, 생 루이 대학교와 통합하여 현재의 명칭을 사용하며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고 세계적인 대학 평가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벨기에 최대 규모의 대학 박물관인 L 박물관을 소장하고 있다. - 1817년 개교 - 트빌리시 신학교
트빌리시 신학교는 1817년 조지아에 설립되어 정교회 신학과 다양한 교과목을 가르쳤으나, 러시아 혁명으로 폐교되었고, 건물 일부는 조지아 미술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1817년 개교 - 마르틴 루터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
마르틴 루터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는 독일 작센안할트주 할레와 비텐베르크에 위치한 공립 연구 중심 대학으로, 1502년 비텐베르크 대학교로 설립되어 종교 개혁의 중심지였으며 독일 계몽주의의 중심지로서 현대적인 대학의 기틀을 마련했고, 현재 9개의 학부를 운영하며 QS 세계 대학 랭킹 등 여러 대학 순위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 다수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대학이다. - 인천광역시의 대학교 -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는 1957년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 의과대학이 통합되어 설립되었으며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진리와 자유의 이념을 추구하는 대한민국의 사립 연구중심대학교이다. - 인천광역시의 대학교 - 경인교육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는 1946년 개성사범학교로 설립되어 초등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14개의 세분화된 전공을 운영하며, 교육전문대학원을 통해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제공하고 부설 기관 및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한다.
헨트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헨트 대학교 |
네덜란드어 명칭 | Universiteit Gent |
라틴어 명칭 | Universitas Gandavensis |
모토 | Sapere Aude (라틴어) |
모토 (영어 번역) | Dare to Think / Durf Denken (생각할 용기를 가져라) |
설립일 | 1817년 |
소속 | CESAER EUA The Guild SGroup ENLIGHT 3I 대학 네트워크 3C 파트너십 |
종류 | 공립 대학 |
위치 | 벨기에, 헨트 |
국가 | 벨기에 |
학생 수 | 50,000명 이상 |
행정 직원 수 | 9,000명 |
총장 | 리크 반 데 발레 |
이전 명칭 | 헨트 국립 대학교 |
웹사이트 | 헨트 대학교 공식 웹사이트 |
교색 | UGent 파란색 & 흰색 |
캠퍼스 | 대학 도시 |
조직 | |
학부 | 문학·철학부 법학부 과학부 의학·의과학부 공학부 경제·경영학부 수의학부 심리학·교육학부 생물공학부 약학부 사회과학·정치학부 |
2. 역사
1817년 10월 9일, 네덜란드 연합왕국의 국왕 빌럼 1세가 네덜란드 연합왕국 남부의 교육 및 학문 발전을 위해 헨트 대학교를 설립했다. 초기에는 인문학부, 법학부, 약학부, 이학부의 네 학부로 구성되었으며, 수업은 라틴어로 진행되었다.[38] 초대 총장은 의사 출신의 J. C. 판 로테르담이었다.
1830년 벨기에 혁명 이후, 프랑스어가 공식 수업 언어가 되었다. 플랑드르의 정치인 로더베이크 더 라엇의 노력으로 1906년 첫 네덜란드어 강의가 시작되었고, 1930년에 완전히 네덜란드어를 사용하는 대학교가 되었다.[38]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제국의 '플랑드르 정책(Flamenpolitik)'에 따라 벨기에 최초의 네덜란드어 사용 대학교가 되었으나, 전쟁 후 다시 프랑스어 대학교로 환원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에 의해 독일어 사용과 독일식 동화정책이 강요되었으나, 헨트 대학교는 이에 대한 저항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38]
전후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벨기에 정부의 고등교육기관 민주화 정책에 따라 대학교의 규모가 크게 확장되었다. 1991년 플란데런어 공동체 정부의 자치권 확대로 현재의 이름인 헨트 대학교(Universiteit Gent)로 변경되었다.
2. 1. 겐트 대학교와 한국
2014년 9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송도에 겐트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GUGC)가 설립되었다.[33] 겐트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는 분자생명공학과, 환경공학과, 식품공학과 학부 과정을 운영하며, 졸업생에게는 벨기에 본교와 동일한 이학사(BSc) 학위가 수여된다.1~2학년은 학과 구분 없이 수학, 화학, 생물학, 물리학, 정보학 등을 공통 기초 과목으로 이수하며, 3학년 때 전공을 선택하여 전공 심화 과목을 이수한다. 4학년 때는 대부분의 과목을 벨기에 겐트 캠퍼스에서 수강하고, 한국으로 돌아와 졸업 논문을 준비하여 통과해야 한다. 연간 학비는 2000만원이며, 기숙사비를 포함하면 2300만원 정도이다.
벨기에 현지 캠퍼스에서는 학부 과정의 경우 네덜란드어 교수 원칙이 적용되지만, 대학원 과정에는 영어로 강의되는 전공이 다수 개설되어 있다. 겐트 대학교는 20세기 후반부터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동아시아 거점 지역에 영어로 수업과 교류가 이루어지는 글로벌 캠퍼스를 개설하였다.
3. 학부
헨트 대학교는 11개의 단과대학 아래 86개 학과, 200개 이상의 전공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즈위나르데 과학 공원과 그린브리지 과학 공원을 운영하고 있다.
3. 1. 단과대학 목록
헨트 대학교는 11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인문대학(Faculty of Arts and Philosophy)
- 법과대학(Faculty of Law)
- 이과대학(Faculty of Sciences)
- 의학 및 의과학대학(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 공학 및 건축학 대학(Faculty of Engineering and Architecture)
- 경제경영대학(Faculty of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 수의과대학(Faculty of Veterinary Medicine)
- 심리 및 교육학 대학(Faculty of Psychology and Educational Sciences)
- 생명공학대학(Faculty of Bio-science Engineering)
- 약학대학(Faculty of Pharmaceutical Sciences)
- 정치 및 사회과학 대학(Facult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s)
4. 연구 및 교육
겐트 대학교는 벨기에뿐만 아니라 유럽과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고등교육기관으로, 주요 대학 랭킹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수의학, 응용생물학, 생명공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역사적으로는 화학과 생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성과들을 남겼다.[3]
1865년 헨트 대학교 교수였던 아우구스트 케쿨레는 벤젠의 육각형 고리 모양 분자 구조를 밝혀내 유기화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20세기 초에는 헨트 대학교 출신 화학자 리오 베이클랜드가 최초의 플라스틱인 베이클라이트를 발명하여 고분자 화학의 시대를 열었다.
1938년에는 헨트 대학교 출신 교수 코르네유 하이만스가 호흡 조절 기전을 규명한 공로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또한, 헨트 대학교에서 배운 파울 아드리안 얀센은 얀센제약을 설립하여 세계적인 제약 회사로 성장시켰다. 1933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에르빈 슈뢰딩거, 1943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게오르크 카를 폰 헤베시 등도 헨트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와 교육에 힘썼다.
현대에 들어서는 월드와이드웹(WorldWideWeb)의 공동 창시자인 로베르 카이오가 헨트 대학교 출신이며, 분자유전학을 이용한 작물 육종 기술 발전에 기여한 마크 반 몽테규도 헨트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이처럼 헨트 대학교는 자연과학 및 응용과학 분야의 학문적 업적 외에도 벨기에 총리,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 노벨 문학상 수상자 모리스 마테를링크, 지휘자 필리프 헤레베허 등 다양한 분야의 리더들을 배출했다.
헨트 대학교는 즈위나르데 (Zwijnaarde)와 그린브리지 (Greenbridge) 과학연구단지(science park)를 운영한다.
4. 1. 도서관
블란다인베르흐에 위치한 보켄토렌은 약 300만 권의 장서를 소장하고 있는 헨트 대학교 도서관 건물이다. 헨트 대학교 도서관은 구글 도서관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그리스어 신약성서의 초기 사본인 파피루스 30을 보존하고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4. 2. 부속 박물관
- 과학사 박물관
- 형태학 박물관
5. 국제 협력
겐트대학교는 벨기에 국내는 물론 유럽 전역과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파트너십을 운영하고 있다.[30]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을 통해 유럽 또는 다른 대륙의 대학들과 교환학생 교류를 하는 간단한 협력부터, 공동학위제를 운영하거나 연구 및 학습 공동체를 형성하여 인류 문명의 당면 문제에 대한 해법을 찾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형태까지 다양한 수준의 협력 체계를 갖추고 있다.
국내 대학과의 공동 학위제의 예로는 뢰번 가톨릭 대학교와 함께 운영하는 식품공학 석사 과정이 있다. 유럽 대학 간 공동 학위제로는 독일 괴팅겐대학교, 덴마크 오르후스대학교, 스위스 University of Natural Resources and Life Sciences 등과 함께 운영하는 토양과 지구변화 전공 국제과학석사(IMSOGLO) 과정[30]이 있다.
유럽 내에서는 U4Society Network의 구성원 대학이고, 유럽 공학고등교육 및 연구대학 연합(CESAER)의 소속 대학이다. 아울러 SGroup 대학 Network의 회원 대학이기도 하다.
유럽 외에도 6개 대륙에서 교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31]
6. 랭킹
헨트 대학교는 세계 유수의 대학 평가 기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세계적으로 4대 대학평가기관이라고 일컬어지는 중국 상해교통대학의 Shanghai Ranking(ARWU), 영국 평가기관 타임스고등교육(THE)과 QS(Quacquarelli Symonds), 미국 US뉴스&월드리포트(USNWR)의 각 평가 순위와 연구 업적 탁월성을 주요 기초로 산정하는 네덜란드 레이던 대학의 레이던 랭킹(CWTS Leiden Ranking)에서 모두 수준급의 위치에 자리하고 있고, 강점을 보이는 특정 전공 분야에서는 세계 최상위권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상해교통대학 세계대학평가(ARWU)에서 종합평가순위 세계 66위를 기록하였고, 전공별 랭킹에선 수의학 1위, 간호학 7위, 식품공학 9위, 농생명과학 14위, 생명공학 분야 23위 등 9개 전공에서 World TOP50에 각 랭크되었다.[18] 같은 해 CWTS Leiden Ranking에서 종합순위 세계 65위를 기록하였다.[19]
2020년 영국 타임스고등교육(THE) 세계대학평가에서 종합 103위[23], QS 세계대학순위에서 종합 130위(수의학 11위, 농생명과학 12위)[21]를 기록하였으며, 2021년 US뉴스&월드리포트 세계대학랭킹 세계 85위(동식물학 9위, 농생명과학 15위, 미생물학 28위, 약리학 및 독성학 29위, 생명공학 및 응용미생물학 34위, 면역학 35위)에 랭크되었다.[24]
헨트 대학교의 세계 대학 종합 순위 | |
---|---|
평가 기관 | 순위 |
ARWU World | 66위 (2020) |
CWTS World | 65위 (2020) |
QS World | 130위 (2020) |
THE World | 103위 (2020) |
USNWR Global | 85위 (2020) |
헨트 대학교는 루뱅 가톨릭 대학교와 함께 세계 100대 대학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다. 2017년, 세계 대학 학술 순위(상하이 랭킹)에서 세계 69위[26],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125위를 기록했다.[27] 2021년 헨트 대학교는 U.S. 뉴스 & 월드 리포트에서 세계 85위,[28] ''타임스 고등 교육''에서 96위를 기록했다.[29]
7. 주요 동문
이름 | 분야 | 기타 |
---|---|---|
조제프 앙투안 페르디낭 플라토 | 물리학자, 수학자 | |
압둘 리바이 | 의사, 언론인 | 네덜란드령 동인도 출신 최초의 박사 학위 취득자 |
레오 아포스텔 | 철학자 | |
레오 베이클랜드 | 화학자 | 베이클라이트 발명가 |
빔 블록만스 | 역사학자 | |
티에리 보가르트 | DevGen 설립자 | |
루크 보시스 | 토목 기사 | |
마르크 보쉬 | 판사, 교수 | |
드리스 바위에르트 | 컴퓨터 과학자 | 드루팔 CMS 설립자 |
로버트 카이요 | 월드 와이드 웹 공동 발명자 | |
루크 코엔 | 경제학자 | 벨기에 국립 은행(NBB) 총재 |
제라르 코어먼 | 벨기에 전 총리 | |
마르크 쿠케 | 오메가 파마 공동 설립자 | |
프란츠 퀴몽 | 역사학자 | |
장 다스칼리데스nl | 산부인과 의사 | 레오니다스 및 다스칼리데스 브랜드의 초콜릿 제조사[32] |
피터르 더 데커 | 벨기에 전 총리 | |
베르트 더 흐라에프 | 법학, 사업가 | |
미셸 더 케메터 | 인간 지속 가능한 개발 저술가 및 연구원 | |
아르노 데 메이어 | 케임브리지 대학교 저지 경영대학원 원장 | |
마르틴 더 프라이케르 | 엔지니어 | |
베르타 더 브리에세 | 의사 | 의사로 등록 및 졸업한 최초의 여성 |
빔 더 발레 | 경제학 및 컴퓨터 과학 | IBBT 국장 |
카트린 더 제허 | 국제 큐레이터, 미술 평론가, 미술사학자 | |
루디 데케이세르 | 분자 생물학자 | VIB 부국장 |
바르트 데플랑케 |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교수 | |
폴 더 스메트 더 나이에르 | 벨기에 전 총리 | |
마틴 도벨 | 정형외과 베테랑 외과 의사 | |
야코프 도리 | 이스라엘 방위군 초대 참모총장, 테크니온 - 이스라엘 공과대학교 총장 | |
폴 프레데릭 | 역사학자 | |
발터 피어스 | 분자 생물학자 | |
레오폴트 플람 | 역사학자, 철학자 | |
디르크 프리무트 | 물리학자, 우주 비행사 | |
데릭 고셀린 | 엔지니어, 경제학자, 사업 관리자 | |
조제프 기슬랭 | 생리학자, 정신과 의사 | |
자크-조제프 하우스 | 법학자 | |
루시엔 에르만-미히엘센스 | 법학, 정치인 | |
필리프 에레베헤 | 의사, 정신과 의사, 오케스트라 지휘자 | |
코르네유 하이만스 | 생리학자 | 노벨상 수상자 |
얀 후트 | 미술사학자, 박물관장 | SMAK 창립 이사 |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케쿨레 폰 슈토라도니츠 | 화학자 | |
야프 크루이토프 | 철학자 | |
톰 라노이에 | 문헌학자, 작가 | |
프랑수아 로랑 | 법학자 | |
테오 르페브르 | 벨기에 전 총리 | |
마르그리트 레고 | 법학자 | 벨기에 최초의 여성 정부 장관 |
이브 레테름 | 벨기에 전 총리 | |
엠마 르클레르크 | 세포 생물학자 | |
헤르만 리베르스 | 작가, 전 왕실 원수 | |
수잔 릴라르 (본명 수잔느 베르비스트) | 철학자, 법학자, 에세이스트, 소설가 | |
줄리우스 맥 레오드 | 식물학자 | |
모리스 마테를링크 | 법학자, 작가 | 노벨상 수상자 |
엘렌 말랑브랭크 | 겐트 대학교를 졸업한 벨기에 최초의 여성 토목 기사, 제2차 세계 대전 레지스탕스 단원 | |
폴 망시옹 | 수학자 | |
루디 마리엔 | 약학 | 이노제네틱스 회장 |
제라르 모르티에 | 예술 감독 | |
롤랑 펠만 | 지휘자 및 음악 감독 | |
장-피에르 뉘엘 | 생리학자 | |
피터 피오 | 의사 | 유엔 사무차장보 |
앙리 피렌 | 역사학자 | |
카렐 포마 | 화학자 및 정치인 | |
오케르트 포트기터 | 선교사이자 영화 감독 | |
아돌프 케틀레 | 통계학자 | |
고트프리트-빌렘 라에스 | 작곡가, 연주자, 악기 제작자 | |
자크 로게 | 의사 |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 |
구스타브 롤랭-자크미엔 | 법학자, 외교관 | 국제법 연구소 공동 설립자 |
조지 사톤 | 화학자이자 과학사학자 | |
요제프 셸 | 분자 생물학자 | |
페르디난트 아우구스틴 스넬라에르트 | 의사이자 작가 | |
임레 타카치 | 환경 엔지니어 및 공정 엔지니어 | |
마누엘 티토 데 모라이스 | 전자 엔지니어이자 포르투갈 정치인 | |
루크 판 덴 보스셰 | 법학, 정치인 | |
귀도 판 헬루에 | 법학자 | 오르데 반 덴 프린세 설립자 |
헤르만 반데르포르텐 | 정치인 | |
휴고 반 헤우버스윈 | 화학자, 생명공학 선구자이자 사업가 | |
장 반 후테 | 벨기에 전 총리 | |
안 반 기셀 | 동물학 | |
디르크 판 데 퓃 | 사업가 | 몬델리즈 인터내셔널의 차기 CEO |
카렐 판 데 보에스티네 | 작가 | |
헨리 반 데 벨데 | 건축가 | |
알렉산더 반 다이크 | 희귀 질환 분야의 선구자 | |
프뤼덴스 반 뒤이세 | 작가 | |
폴 판 헤르트 | 심리학자 | |
마르크 반 몽타구 | 생명공학 선구자 | |
데지레 반 몽크호벤 | 물리학자 | |
쥘 반 프라에 | 정치가 | |
빌리 반 릭헴 | 경제학자 | |
피에트 반템셰 | 수의사 | |
다니엘 바루잔 | 아르메니아 시인 | |
기 베르호프스타트 | 벨기에 전 총리, 자유주의 유럽 정치인 | |
디르크 베르호프스타트 | 출판인 | |
에티엔 베르메르시 | 철학자 | |
카트린 베르메이레 | 예술가 | |
프랭크 J. M. 베르스트라테 | 수의 치과 의사이자 학자 | |
스웬 빈케 | 비디오 게임 감독 | 라리안 스튜디오 설립자 |
앙드레 블레릭 | 경제학 | |
에밀 왁스바일러 | 엔지니어 및 사회학자 | |
마르크 자보 | 동물학 | |
제럴드 미신조 | 분자 생물학, 탄자니아 수의 바이러스학자 및 교수 | |
S.N. 발라강가다라 | 문화 비교 과학 | |
조르지 드 헤베시 | 노벨상 수상자, 화학 | |
얀 드 마세니어 | 의학, 가정 의학 | |
조르주 드 무어 | 의학, 의학 정보학 | |
자비에르 살렌스 | 생명 공학 | |
에르빈 슈뢰딩거 | 물리학자 | 노벨상 수상자, 객원 연구원 |
요한 루돌프 토르베케 | 정치가 | |
아우구스트 베르메일렌 | 작가, 미술사학자, 정치가 | |
아돌프 폰 바이어 | 화학자 | (노벨상 수상자), 객원 연구원 |
빅토르 드 혼트 | 변호사 겸 법학자 | 드 혼트 방법으로 알려짐 |
참조
[1]
서적
Record of the Celebration of the Quatercentenary of the University of Aberdeen: From 25th to 28th September, 1906
Aberdeen University Press (University of Aberdeen)
1907
[2]
웹사이트
Basic principles: Corporate colours
https://styleguide.u[...]
[3]
웹사이트
Ghent University Memorials
https://www.ugentmem[...]
2010-09
[4]
뉴스
A Language Come Back
https://archive.toda[...]
Time (magazine)
1923-04-28
[5]
웹사이트
Haard van verzet
http://www.ugentmemo[...]
UGent Memorie
2012-01-10
[6]
웹사이트
Vlerick Business School
https://en.wikipedia[...]
[7]
웹사이트
Faculteit Letteren en Wijsbegeerte – Faculteit Letteren en Wijsbegeerte
http://www.flw.ugent[...]
[8]
웹사이트
Faculty of Law Ghent University
http://www.law.ugent[...]
2013-04-06
[9]
웹사이트
Faculty of Sciences — Ghent University
http://www.ugent.be/[...]
[10]
웹사이트
Faculteit Geneeskunde en Gezondheidswetenschappen — Universiteit Gent
http://www.ugent.be/[...]
[11]
웹사이트
Faculty of Engineering and Architecture — Ghent University
http://www.ugent.be/[...]
[12]
웹사이트
Faculty of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http://www.feb.ugent[...]
2013-04-06
[13]
웹사이트
Faculty of Veterinary Medicine — Ghent University
http://www.ugent.be/[...]
[14]
웹사이트
Faculteit Psychologie en Pedagoghische Wetenschappen (FPPW)
http://www.fppw.ugen[...]
[15]
웹사이트
Faculteit Letteren en Wijsbegeerte – Faculteit Letteren en Wijsbegeerte
http://www.flw.ugent[...]
[16]
웹사이트
Faculty of Pharmaceutical Sciences — Ghent University
http://www.ugent.be/[...]
[17]
웹사이트
Facult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s — Ghent University
http://www.ugent.be/[...]
[18]
웹사이트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2023
https://www.shanghai[...]
2024-01-08
[19]
웹사이트
CWTS Leiden Ranking 2020 - P(top 10%)
https://www.leidenra[...]
2021-03-07
[20]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0-2021
https://cwur.org/202[...]
2021-01-08
[21]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Ghent University
https://www.topunive[...]
2024-01-08
[22]
웹사이트
Reuters World's Top 100 Innovative Universities 2019
https://www.reuters.[...]
2021-01-08
[23]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 Ghent University
https://www.timeshig[...]
2023-10-03
[24]
웹사이트
Best Global Universities 2022-23 - Ghent University
https://www.usnews.c[...]
2023-01-08
[25]
웹사이트
Best Global Universities in Belgium
https://www.usnews.c[...]
2023-01-08
[26]
웹사이트
Shanghai Ranking 2017 Results
http://www.shanghair[...]
2017-11-27
[27]
웹사이트
QS Top Universities Ranking 2014–2015
http://www.topuniver[...]
2015-07-16
[28]
웹사이트
Best Global Universities 2021
https://www.usnews.c[...]
[29]
웹사이트
The Times Higher Education World University Rankings
https://www.timeshig[...]
timeshighereducation.com
2021-09-03
[30]
웹사이트
Home
https://imsoglo.eu/
2019-02-20
[31]
웹사이트
Bestemmingen — Studentenportaal — Universiteit Gent
https://www.ugent.be[...]
ugent.be
[32]
웹사이트
Daskalidès, Jean (1922–1992) | UGentMemorie
http://www.ugentmemo[...]
Ugentmemorie.be
2013-10-15
[33]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6-09
[34]
문서
http://www.ugent.be/[...]
[35]
문서
네덜란드어 'g'는 한국어 'ㅎ'과 비슷하게 발음됨
[36]
문서
뢰번(루뱅)가톨릭대학교는 1835년 설립된 네덜란드어권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KU Leuven)에서 불어권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UCL)가 1968년에 분리되었고, 근교인 루뱅라뇌브로 옮겨갔다.
[37]
문서
브뤼셀자유대학교는 정부와 종교로부터 독립운영된다는 의미로 자유대학교 명칭을 붙였지만, 실제로는 일부 정부의 보조를 받는다. 1834년 설립된 불어권 Université libre de Bruxelles(ULB)로부터 1970년 네덜란드어권 Vrije University Brussels가 분리설립되어 나누어졌고, 불어권 대학교 중에는 벨기에에서 가장 크다.
[38]
문서
벨기에는 언어사용지역별로 지역주의가 강하고, 이러한 역사적 배경때문에 네덜란드어를 사용지역인 플란데런(플랑드르) 정체성에 관한 프라이드가 큰 대학이라고 할 수 있다. 일부에 있어서는 왜곡된 자부심으로 다른 민족에 대해 개방성이 부족하여 그다지 우호적이지 않은 경향을 가진 이들도 있다고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